[실수공간의 위상] ch2. 열린집합, 닫힌집합
이전 읽을거리: ch1. 거리공간
다음 읽을거리: ch3. 위상적 성질
열린집합
다음의 집합은 지난 포스팅의 마지막에서 말한 "경계가 없는" 원 또는 정사각형과 비슷한 집합이다.
Definition. 거리공간에 대해 다음의 집합을 에서 의 -근방( -neighborhood of in )이라고 한다.
※ 근방의 상위집합인 거리공간을 상첨자로 표기하는 방법은 필자가 독단적으로 고안하였지만, 공부 결과 이 표기법이 상당히 유용하여 소개한다.
만약
Definition. 거리공간와 집합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하면 는 에서 열려있다(open in )고 한다.
다시말해
예를들어 열린구간
열린집합의 정의에서 어디에서 열려있는지를 명시하는 이유는 똑같은 집합이더라도 어떤 거리공간 속에 포함되는지를 선택함에 따라 열린집합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집합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어떤 집합
Definition.의 부분공간 에서 의 -근방 을 생각하자.
(1)의 거리가 euclidean matric 이라면 를 반경이 인 open ball 이라고 하며 이라고 한다.
(2)의 거리가 sup metric 이라면 를 반경이 인 open cube 라고 하며 이라고 한다.
Theorem 2.1. Euclidean metric 을, sup metric 을 라고 하자. 의 부분공간 에 대해 가 에서 열려있을 필요충분조건은 에서 열려있는 것이다.
Proof.
즉
역으로
즉
위 정리에 따르면 두 거리 중 어느 것을 이용하더라도 어떤 집합이 열린집합임은 변하지 않으므로,
Definition. 거리공간에서 열려있는 모든 집합의 모임을 라고 쓴다.
특히, 정리 2.1.의 증명 과정으로부터 다음의 따름정리를 바로 얻을 수 있다.
Corollary 2.2.의 부분공간 를 생각하자. 임의의 , 에 대해 이다.
위 따름정리는
Definition. 거리공간에서 열려있는 에 대해 이면 를 에서 의 근방(neighborhood of in )이라고 한다. 에서 의 모든 근방의 모임을 이라고 쓴다.
이러한 사고의 확장은 커다란 유연성을 가져다준다. 모든
Theorem 2.3. 거리공간에 대해 어떤 집합 가 일 필요충분조건은 다음이 성립하는 것이다.
Proof.
역으로 임의의
닫힌집합
닫힌집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사실 이러한 정의방법은 닫힌집합의 본질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일단 닫힌집합의 성질을 알기에는 더할나위없이 편리한 정의이다. 닫힌집합의 본질을 담은 정의는 다음 포스팅에서 설명한다.
Definition. 거리공간와 에 대해 가 에서 열려있으면 가 에서 닫혀있다(closed in )고 한다.
다시말해 여집합이 열린집합이면 그 집합은 닫힌집합이라고 하자는 것이다. 열린집합이 아닌 집합이 닫힌집합이라는 것이 아님에 주의하자. 사실 대부분의 집합은 열려있지도, 닫혀있지도 않다. 다음의 정리로 이 논의를 선명히 하자.
Theorem 2.4. 거리공간에서 가 열려있을 필요충분조건은 가 에서 닫혀있는 것이다.
Proof.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James R. Munkres. (1991). Analysis on manifolds. CRC press.
이전 읽을거리: ch1. 거리공간
다음 읽을거리: ch3. 위상적 성질
'수학 > 다변수해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수공간의 위상] ch6. Interior, Exterior, Boundary (0) | 2022.12.13 |
---|---|
[실수공간의 위상] ch5. 함수의 극한 (0) | 2022.12.13 |
[실수공간의 위상] ch4. 연속함수 (0) | 2022.12.11 |
[실수공간의 위상] ch3. 위상적 성질 (0) | 2022.12.09 |
[실수공간의 위상] ch1. 거리공간 (1) | 2022.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