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변수 적분] ch5. 부피를 갖는 집합
이전 읽을거리: ch4. 유계집합 위의 적분
다음 읽을거리: ch6. 특이적분
바나흐 측도 문제
잠시 편의를 위해
1. 임의의
2. 임의의
3. 거리를 보존하는 임의의 사상
4.
바나흐는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Banach-Tarski paradox)
임의의 3차원 구를 생각하자. 서로소인 집합 에 대해 다음과 같다고 하자. 이때 평행이동과 회전변환만을 이용하여 각 를 로 바꾸어 다음이 성립하도록 할 수 있다.
※ 평행이동과 회전변환은 거리를 보존하는 사상(등장사상, isometry)중 하나이다.
이는 실제로 참인 명제이며, 단지 역설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기하학적 직관에 잘 맞지 않기 때문이다. 위 역설에서 심지어
수학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모든 유계집합의 부피를 정의하지 않고 "부피를 갖는 집합" 을 별도로 고려한다.
부피를 갖는 집합
우리는 이미 rectangle 의 부피를 정의한 바 있다. 이제 부피의 정의를 좀 더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하자.
Definition. 유계집합에 대해 상수함수 이 에서 적분가능하면 가 부피를 갖는다고 하자. 이때 의 부피를 라고 쓰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부피를 갖는다" 라는 용어는 수학계에서 다소 확립되지 못한 듯 하다. 다음의 리스트는 모두 같은 말을 의미한다.
1. 집합이 부피를 갖는다.
2. 집합이 rectifiable 하다.
3. 집합이 Jordan-measurable 이다.
4. 집합이 domain of integration 이다.
본 시리즈의 주 참고문헌인 "Munkres, Analysis on manifolds" 에서는 "rectifiable"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예전부터 길이가 정의되는 곡선을 지칭해왔기 때문에, 부피가 정의되는 집합을 위한 용어로 사용하자는 것이 munkres 의 주장이다. 한편 "Spivak, Analysis on manifolds" 에서는 "Jordan-measurable"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부피를 갖는 집합과 조르당 측도(Jordan-measure)가 정의되는 집합이 동치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용어 "부피를 갖는다" 를 사용할 것이다. "rectifiable" 은 한국어 독자에게 난해하고, "Jordan-measurable" 은 조르당 측도를 이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과분한 용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용어 "부피를 갖는다" 는 "김홍종, 미적분학 2+" 를 따랐다. 한편 용어 "domain of integration" 는 아래의 Cor 5.2 에 따라 나름의 명분을 갖지만,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Theorem 5.1. 집합이 부피를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가 유계이고 의 측도가 0인 것이다.
Proof. 함수
따라서
Corollary 5.2. 부피를 갖는 집합에 대해 유계 연속함수 은 에서 적분가능하다.
Proof. 함수
다음은 부피에 대한 성질이며, 이는 직관에 아주 잘 부합한다.
Theorem 5.3 (부피의 성질). 부피를 갖는 집합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1) (Positivity)
(2) (Monotonicity)이면 이다.
(3) (Additivity)와 는 부피를 가지며 다음과 같다. (4) 일 필요충분조건은 의 측도가 0인 것이다.
(5)는 부피를 가지며 이다.
Proof. (1), (2), (3)은 Thm 4.3 에 따라 자명하다.
(4)
(5) Thm 4.6 에 따라 자명하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James R. Munkres. (1991). Analysis on manifolds. CRC press.
[2] StackExchange. https://math.stackexchange.com/questions/140710
[3] 김홍종. (2020). 미적분학 2+.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4] Spivak, Michael. (2019). Analysis on manifolds. CRC press.
이전 읽을거리: ch4. 유계집합 위의 적분
다음 읽을거리: ch6. 특이적분
'수학 > 다변수해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변환정리] ch1. 단위분할 (0) | 2023.01.20 |
---|---|
[다변수 적분] ch6. 특이적분 (0) | 2023.01.16 |
[다변수 적분] ch4. 유계집합 위의 적분 (0) | 2023.01.14 |
[다변수 적분] ch3. 푸비니 정리 (1) | 2023.01.13 |
[다변수 적분] ch2. 측도 0과 적분가능성 (0) | 2023.01.05 |
댓글